본문 바로가기
정보통통

온코닉테라퓨틱스 공모주, 투자 매력과 체크포인트 정리

by 쏭샘 2024. 12. 8.

 

온코닉테라퓨틱스가 2024년 12월 19일 KOSDAQ 상장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번 IPO는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만큼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청약 일정과 함께 공모가, 경쟁률, 유통물량 등 주요 정보를 살펴보고 투자 포인트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온코닉테라퓨틱스, 어떤 회사인가?

온코닉테라퓨틱스는 혁신 신약 개발을 목표로 하는 바이오 기업입니다. 주요 타깃은 암 및 만성질환 치료제이며, 자체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신약 후보 물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도 노리고 있어 중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 공모주 청약 일정 및 기본 정보

온코닉테라퓨틱스의 공모주 청약은 아래와 같은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1) 공모주 청약 일정

  • 수요예측일: 2024년 11월 27일 ~ 12월 3일
  • 청약일: 2024년 12월 9일 ~ 12월 10일
  • 환불일: 2024년 12월 12일
  • 상장일: 2024년 12월 19일

2) 청약 주요 정보

  • 주간사: NH투자증권
  • 공모가: 13,000원 (밴드: 16,000~18,000원)
  • 최소 청약 증거금: 65,000원 (10주 기준)
  • 유통 비율: 25.13% (약 353억 원)
  • 기관경쟁률: 198.96:1

청약 시간은 오전 8시부터 오후 4시까지이며, NH투자증권 계좌를 통해 참여할 수 있습니다.


3. 공모가와 기관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는 13,00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공모가 밴드(16,000~18,000원) 대비 낮은 수준입니다. 수요예측에서 기관경쟁률은 198.96:1을 기록했지만,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3.72%에 그쳤다는 점은 다소 아쉬운 부분으로 평가됩니다.

  • 공모 규모: 202억 원 (1,550,000주)
  • 의무보유확약 비율: 3.72%

기관의 확약 비율이 낮다는 것은 상장 초기 주가 변동성이 클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단기 투자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4. 투자 포인트: 장점과 리스크

1) 투자 매력

  1. 바이오 산업의 성장성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암 및 만성질환 치료제라는 성장성이 높은 분야를 타깃으로 하고 있습니다.
  2. 기술 기반의 혁신성
    플랫폼 기술을 활용한 신약 개발로 기술적 차별화를 꾀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3. 낮은 공모가
    공모가가 밴드 하단보다 낮게 확정되었기 때문에 진입 장벽이 낮습니다.

2)유의해야 할 리스크

  1. 의무보유확약의 낮은 비율
    의무보유확약 비율이 낮아 초기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2. 높은 유통 비율
    유통 비율이 25%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이는 시장에 나오는 물량이 많아질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3. 바이오 업종 특유의 변동성
    바이오 기업 특성상 연구 개발 실패나 규제 변화로 인한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5. 공모주 청약, 어떻게 준비할까?

온코닉테라퓨틱스 공모주는 NH투자증권 계좌를 통해 청약할 수 있습니다.
최소 청약 수량은 10주(65,000원)이며, 균등 배정을 노리는 소액 투자자에게도 기회가 열려 있습니다.

  • 청약 수수료: 2,000원
  • 계좌 개설: 청약 당일 가능

청약 경쟁률과 균등 배정 주식 수를 확인하며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6. 온코닉테라퓨틱스, 상장 후 전망은?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 평가됩니다. 특히 연구개발(R&D) 성과가 시장 기대에 부응할 경우, 주가 상승 여력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상장 초기 변동성이 클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7. 마무리: 온코닉테라퓨틱스 IPO, 참여할 가치 있을까?

온코닉테라퓨틱스는 바이오 산업 내 기술력을 바탕으로 성장 가능성을 보이는 기업입니다. 그러나 공모가 밴드 하단으로 확정된 점과 낮은 의무보유확약 비율은 단기적으로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이오 산업의 성장성과 기업의 연구개발 역량에 주목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할 수 있습니다.